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나의 중고차 이야기(5) - 이 차 어때? 링컨 MKX 2세대

중고차

by 카대리 2023. 10. 3. 17:25

본문

728x90

필자가 기존에 혼자 타던 미니쿠퍼3세대 모델이 아무래도 가족과 함께 여행을 다니거나 할때 짐을 싣기엔 너무 공간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적당한 가격에 정숙성과 승차감이 모두 좋은 차를 찾다 너무 가성비가 좋은 차를 찾게 되었는데 바로 링컨의 MKX였습니다. 왜 하필이면 링컨이냐 라고 말을 할 수 있겠으나 이 차의 매력은 타보기 전엔 미처 알 수 없는 부부분이 너무 많습니다. 먼저 차량에 대한 소개를 좀 해보겠습니다.

 

링컨 MKX는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포드 모터 컴퍼니의 고급 브랜드인 링컨에서 생산했던 중형 럭셔리 SUV 차량입니다.

링컨 MKX의 개발배경은 2002년에 출시되어 익스플로러를 기반으로 한 에비에이터가 처참하게 망하자 2004년 북미국제오토쇼에서 '링컨 에비에이터 컨셉트카'를 공개했고 245마력의 파워와 330Nm의 최대 토크를 내는 V6 엔진이 탑재되었습니다. 또한 파노라마 선루프 등이 달려 있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존재하긴 했었습니다.

이후 2006년 오토쇼 서킷에서 링컨 브랜드 경영진들에 의해 '마크 ex'라는 이름이 언급되었고 이후 M-K-X라는 형태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때 일본의 자동차 브랜드인 혼다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아큐라에서 판매하는 SUV 차량인 MDX와 이름이 같아서 소송을 제기하기까지 했으나 결론적으로 법정 밖에서 상황을 무마해 이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필자가 타고 다녔던 링컨 MKX의 2세대 모델은 2014년 베이징모터쇼에서 콘셉트카가 공개된 뒤 이듬해 북미국제오토쇼에서 양산형이 처음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가을에 공식 판매에 돌입해 2016년형으로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 판매 가격은 2015년형 차량과 비슷한 수준인 약 38,000달러 정도였습니다. 차량의 전장은 4,826mm, 전폭은 1,935mm, 전고는 1,681mm, 휠베이스는 2,850mm입니다. SUV치고는 매우 낮고 와이드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플랫폼은 MKZ와 2세대 퓨전 및 5세대 몬데오, 2세대 엣지의 CD4 플랫폼이 적용되었습니다. 바이-제논 HID 프로젝터 전조등, LED 주간주행등, LED 안개등, LED 후미등이 적용되었으며, 혹은 바이-제논 전조등을 대체한 LED 호박색 방향지시등이 적용된 풀 어댑티브 LED 전면등 LED 안개등, LED 후미등, LED 주간주행등이 럭셔리 패키지에 적용되었습니다.


기본 파워트레인으로 듀라텍 엔진 계열인 303마력에 377Nm의 토크를 내는 3.7L 사이클론 V6 엔진이 들어가며, 옵션으로는 2.7L 에코부스트 V6 엔진이 들어가 335마력에 515Nm의 토크를 냈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수입된 모델은 2.7L V6 에코부스트 엔진이었습니다.

2010년대 이후의 링컨 차량답게, 센터 콘솔에 기어레버를 달던 기계식 자동변속기 구성에서 벗어나 먼저 공개되었던 MKZ와 MKC처럼 버튼으로 작동하는 전자식 자동변속기가 들어갔습니다. 이 버튼식 자동변속기는 센터페시아 왼쪽에 세로로 각각 P/R/N/D/S로 구성되어 있으며, S 버튼은 스포츠 모드 버튼으로 연속 제어 댐핑 서스펜션,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변속기의 반응이 달라집니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마이링컨 터치'라는 이름의 싱크 2가 들어갔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싱크 3로 변경되었습니다.

2016년 기준으로 북미 시장에서 링컨의 이름을 달고 판매되는 차량 중 가장 높은 판매고를 올리기도 했습니다. 미국 시장 기준 사양은 리저브, 셀렉트, 프리미어가 있으며, 1976년 링컨 마크 IV의 디자이너 에디션에서 시작된 전통적인 3가지 특별 에디션이자 최고급형인 '블랙 라벨'이 있었는데, 하나는 'Thoroughbred'라고 MKZ 및 컨티넨탈과 공유하는 사양이며, 이외에는 모던 헤리티지와 Indulgence 사양이 존재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 정식수입되었던 모델은 리저브와 셀렉트로 셀렉트는 가성비 모델이며, 리저브가 풀옵션 모델로 들어왔습니다. 어라운드 뷰와 레벨 스피커 휠 옵션, LED전조등 등 여러가지 옵션 차이가 존재 하였습니다.


2017년 11월 29일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는데, 2019년형 차량들부터는 기존의 'MK' 작명법을 버리면서 이름까지 노틸러스로 바뀌었습니다. 

이 차량의 장점 중 첫번째는 역시 출력에서 오는 넉넉함 입니다. 335마력에 53토크라는 체급을 뛰어 넘는 듯한 파워로 언제든 출력의 부족함을 느낄 수 없게 만들어 줍니다.

두번째는 스피커 입니다. 상용차 중에 이 가격에 이만한 스피커 성능을 구현한 차는 찾기 힘들정도로 뛰어난 음장과 음향을 보여줍니다.

세번째는 실내 소재의 품질입니다. 브릿지오브위어의 가죽을 사용한 리저브 등급의 차량일 경우 매우 뛰어난 가죽품질을 보여주며 전동시트의 움직임 또한 매우 세밀하게 몸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굉장히 큰 만족감을 선사합니다.

네번째는 가격입니다. 물론 새차가 아닌 중고로 구매하였을 경우 한정이지만 차의 급과 품질을 생각하면 1천만원 후반에서 2천만원 초반에 이런 차량을 구매할 수 있다는점은 매우 큰 매리트라 할 수 있겠습니다.

다섯번째는 디자인입니다. 익스테리어는 야간 쿠페형 도심SUV를 표방하여 요즘 가장 유행하는 루프라인을 완성하였으며 어댑티브 LED전조등과 데이라이트는 차를 더욱 세련되게 느끼게 해줍니다. 인테리어 역시 고급가죽과 우드를 사용하였고 고급스러운 색감과 버튼들의 촉감이 매우 좋은 경험을 선사해줍니다.

다음은 단점입니다. 첫번째는 역시 연비입니다. 실 주행 영역에서 고속과 시내주행을 5:5로 했을경우 평균연비가  8.5km/l정도가 꾸준히 나왔습니다. 차급과 배기량을 생각하면 그렇게 나쁜수치는 아니지만 요즘 주유소 휘발유 가격을 생각하면 주머니에 부담이 되는 연비임에는 틀리없습니다.

두번째는 트렁트 적재 공간입니다. 트렁크측 라인이 약간 쿠페처럼 빠지다 보니 SUV치고 짐을 높게 적재하기 힘들다 보니 부족한 공간은 아니지만 살짝 아쉬움이 남는게 사실이었습니다.

세번째는 영민하지 못한 반자율주행 기능입니다. 차선유지가 아닌 이탈방지기능이다 보니 차선을 건드렸을 때 차선안으로 살짝 밀어넣어주는 정도의 기능을 하는데 너무 약합니다.

네번째는 차량을 도심형 SUV임을 너무 의식해서 만들어서 인지 후륜쪽 서스펜션의 스트로크 길이가 너무 짧아 방지턱을 넘을때 충격을 최소화 하기가 조금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다섯번째는 A/S부분입니다. 서비스 센터가 광역시들을 위주로 포진하고 있어 지방도시에 거주할 경우 정식 센터를 이용하기가 조금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들을 고려하여 평점을 준다면

 

총 평

 
가격                                                                     8점(1800~2500만원)
옵션                                                                    10점(반자율주행 빼고 없는 옵션이 없음)
연비                                                                     6점
디자인                                                                 9점(링컨의 헤리티지와 지금 봐도 촌스러움이 없다)
정숙성                                                                 9점(풍절음은 없지만 노면소음은 살짝 있다)
공간, 트렁트(적재능력)                                       8점(2열 접으면 꽤 쓸만함)
승차감                                                                 8점(모드변경에 따른 차이가 그렇게 크게 다가오지 않음)
유지비                                                                 7점(연비 빼고 다 만족스러움)
안전성                                                                 9점(안전도 점수가 생각보다 높다)
정비성                                                                 6점

 

총점  80/100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